최신기술동향

TECH

SARS-CoV-2(COVID-19,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종류 및 특성 2021.09.08


SARS-CoV-2 (COVID-19,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SARS-CoV-2 Interagency Group (SIG)의 분류에 따르면 COVID-19 바이러스 변이는 3개의 등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WHO는 발견된 순서에 따라 명명하고 있음
COVID-19 바이러스 변이는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위에 위치한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치환 조합으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변이가 있음
 - L452R
 - E484K
 - L452R, E484Q
 - K417N, E484K, N501Y
 - K417T, E484K, N501Y
 - K417N, L452R, T478K
 - R346K, E484K, N501Y
※도움말: L452R은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 452번째 아미노산 L(leucine, 류신)이 R(arginine, 아르기닌)로 치환된 변이를 말함
▶COVID-19 바이러스 변이 분류
  1) 관심 변이
    : 수용체 결합 변화와 관련된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발생하여 이전의 감염이나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항체의 중화반응이 약화되고 치료 효과가 감소하며, 진단의 영향을 미치거나 감염성이나 질병 중증도의 예측된 증가가 관찰되는 변이
    ① 에타, B.1.525
      - 2020년 12월, 영국과 나이지리아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A67V, 69del, 70del, 144del, E484K, D614G, Q677H, F888L
      - 일부 긴급사용승인(EUA) 단일클론항체 치료에 의한 중화 가능성 감소와 회복기 및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이 있음
    ② 이오타, B.1.526
      - 2020년 11월 미국 뉴욕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L5F, (D80G*), T95I, (Y144-*), (F157S*), D253G, (L452R*), (S477N*), E484K, D614G, A701V, (T859N*), (D950H*), (Q957R*)
      - 밤라니비맙과 에테세비맙 단일클론항체 치료 병용 요법에 대한 민감도 감소(그러나 이러한 감소가 임상에서 갖는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체 단일클론항체 치료법이 있음)와 회복 및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가 감소함
    ③ 카파, B1.617.1
      - 2020년 12월 인도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T95I), G142D, E154K, L452R, E484Q, D614G, P681R, Q1071H
      - 일부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과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이 있음
    ④ B.1.617.3
      - 2020년 10월 인도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T19R, G142D, L452R, E484Q, D614G, P681R, D950N
      - 일부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과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이 있음
  2) 우려 변이
    : 바이러스 전파력 증가, 중증화(입원 또는 사망 증가), 이전의 감염 이나 백신 접종으로 생긴 항체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가 현저히 나타나며, 치료 또는 백신의 효능이 감소하고 진단 검사에서 변이 감지 실패에 대한 증거가 있는 변이
    ① 알파, B.1.1.7, Q sublineages
      - 영국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69del, 70del, 144del, (E484K*), (S494P*), N501Y, A570D, D614G, P681H, T716I, S982A, D1118H (K1191N*)
      - ~50% 감염성 증가와 입원 및 사망률 기준으로 잠재적 심각도 증가,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에 대한 민감도에 영향이 없으며, 회복 및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임
    ② 베타, B.1.351, B.1.351.2, B.1.351.3
      - 남아프리카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D80A, D215G, 241del, 242del, 243del, K417N, E484K, N501Y, D614G, A701V
      - ~50% 감염성 증가와 밤라니비맙과 에테세비맙 단일클론항체 치료 병용 요법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히 감소하지만, 다른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가 가능하며 회복 및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③ 델타, B.1.617.2, AY.1. AY.2, AY.3
      - 인도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T19R, (V70F*), T95I, G142D, E156-, F157-, R158G, (A222V*), (W258L*), (K417N*), L452R, T478K, D614G, P681R, D950N
      - 전파력 증가와 일부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가능성
    ④ 감마, P.1, P.1.1, P.1.2
      - 일본과 브라질에서 최초 확인
      - 스파이크 단백질 치환: L18F, T20N, P26S, D138Y, R190S, K417T, E484K, N501Y, D614G, H655Y, T1027I
      - 밤라니비맙과 에테세비맙 단일클론항체 치료 병용 요법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히 감소하지만, 다른 EUA 단일클론항체 치료가 가능하며 회복 및 백신 접종 후 혈청에 의한 중화 효과 감소
  3) 고위험 변이: 확인된 바 없음

※관련 문헌은 아래의 출처 사이트에 확인 가능함

출처: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variants/variant-info.html#Interest